추천 노출이 왜 되는지, 왜 안 되는지 드디어 공개됐습니다.
트위터가 자사 알고리즘을 오픈소스로 공개했어요.
사실 이전에도 추정이나 유출을 통해 돌아가는 방식은 어느 정도 알려져 있었지만,
이번엔 아예 공식 코드 전체를 깃허브에 공개되었는데요.
“왜 저 트윗은 떴는데, 내 트윗은 안 뜨는지?”
이제 그 이유를 정확히 알 수 있게 된 셈입니다.
이번 공개는 '개발자용 깃허브'에 전체 코드 형태로 이루어졌습니다.
트위터 측이 구체적인 이유를 밝히진 않았지만, 맥락을 보면 이렇습니다:
조건 | 설명 | 영향 |
---|---|---|
금칙어/정책위반 단어 | 닉네임·본문 내 금지어 포함 시 | 노출 최대 80% 감소 |
외부 링크 포함 | 유튜브, 인스타 등 외부 유도 | 노출 제한 |
대문자만 쓴 글 | 예: “READ THIS NOW” | 스팸 처리 |
오타/비문/의도적 이상한 말투 | 인공지능이 품질 낮다고 판단 | 노출 하락 |
신규 계정 | 활동 데이터 부족 | 알고리즘 노출 우선순위 ↓ |
복붙 컨텐츠 | 똑같은 글 여러 번 올리기 | 자동 감점 |
동일인 멘션 반복 | 도배처럼 인식됨 | 노출 감소 |
비팔로워에게 과도한 댓글 | 강제 노출 시도 감지 | 알고리즘 차단 가능성 ↑ |
조건 | 설명 | 영향 |
---|---|---|
영상 포함 트윗 | 영상이 10초 이상 시청되면 | 가장 강한 부스팅 |
글 트윗 평균 2초 이상 읽힘 | 스크롤로 시간 측정 | 점수 가산 |
이미지 포함 트윗 | 눈에 띄는 시각 요소 | 노출 증가 |
북마크·인용 리트윗 | '저장' 또는 '공유'된 트윗 | 매우 큰 가중치 |
파란 체크(인증 계정) | 유료 인증 포함 | 기본 우선 노출 |
댓글 1시간 내 응답 | 트윗 반응성 높일수록 | 알고리즘 우호적 |
트위터 내 체류 시간 많음 | 트위터 오래 쓰는 계정 | 점수 누적 ↑ |
“바이럴 계정”으로 분류됨 | 자주 퍼지는 계정 | 상시 노출 우선 대상 |
트위터 알고리즘에는 “계정별 명성치 (Reputation)” 시스템이 존재합니다. 일종의 숨겨진 점수표 같은 건데요,
같은 글이라도, 누가 쓰느냐에 따라 결과가 완전히 달라지는 이유가 바로 이겁니다.
트위터는 더 이상 단순한 SNS가 아닙니다. 이젠 트윗 하나가 노출되느냐, 사라지느냐는 알고리즘과 점수 게임으로 바뀌었어요 자주 올라오는 트윗 특징 정리하면:
이런 것들이 ‘알고리즘에 먹히는 콘텐츠’의 기준입니다.
Q. 외부 링크 안 쓰면 너무 불편한데요?
A. 트위터 내부 콘텐츠(영상, 이미지, 스레드) 활용하면 노출 유지하면서 정보 제공 가능해요.
Q. 명성치 점수는 어디서 확인하나요?
A. 일반 유저가 직접 볼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꾸준히 반응 좋은 트윗을 올리면 자연스럽게 올라요.
Q. 인증 마크는 꼭 있어야 하나요?
A. 없어도 되지만, 있으면 노출 우선권이 생기기 때문에 유리하긴 합니다.
Q. 스레드(쓰레드) 형식도 점수에 영향 있나요?
A. 길고 구조화된 트윗은 평균 체류 시간 늘려주기 때문에 긍정적인 영향 있어요.
Q. 영상 트윗은 어떻게 올리는 게 좋나요?
A. 영상 시작 3초 안에 흥미 끌 요소 넣고, 10초 이상 머무르게 하면 알고리즘 부스팅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건 트위터 노출 알고리즘의 흐름을 이해하면 가능한 일입니다.
유튜브 보면서 단축키 사용하는 방법 (PC 버전) (1) | 2025.04.05 |
---|---|
아이폰 음력 생일, 기념일 캘린더에 저장하는 꿀팁 (1) | 2024.09.19 |
영지식 증명이란? (0) | 2024.03.18 |
카카오톡 친구 차단 확인하는 3가지 방법 (1) | 2023.11.19 |
맥 윈도우 10 USB를 사용해 설치하는 방법 (0) | 2021.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