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청년계좌 3대장 비교: 뭐가 진짜 이득임?

유용한 정보와 분석/생활.

레프트 윙어. 2025. 10. 1. 16:54

본문

요즘 청년 정책 금융상품 겁나 많다. 청년내일저축계좌니, 청년도약계좌니, 청년미래적금이니 이름도 비슷해서 헷갈리고, 다 좋은 것 같지만 실제로 뭐가 제일 남는지 모르겠지?

결론부터 말하면 “조건 맞는 거 무조건 넣어야 함” 근데 뭐가 맞는지를 모르면 안 되니까, 지금 기준으로 3개 상품 싹 비교해줌. 지원금, 이자, 총 수령액, 조건, 신청방법 다 있음. 가입 시기 놓치면 뒤늦게 후회하는 거다.

계좌별 핵심만 빠르게 보기

구분 기간 월 납입 정부지원 총 수령액 (이자포함) 주요 조건 비고
청년내일저축계좌 3년 10만~50만 최대 30만/월 최대 약 3,110만 소득 250만 이하 + 중위소득 100% 이하 정부지원 제일 큼
청년도약계좌 5년 최대 70만 월 3.3만 (총 198만) 최대 약 5,060만 연소득 7,500만 이하 + 가구소득 중위소득 250% 이하 2025년 종료 예정
청년미래적금(예정) 3년 최대 50만 6~12% 매칭 일반: 2,080만 / 우대: 2,200만 소득 6,000만 이하 (우대는 중소기업 3년) 2026년 시작

1. 청년내일저축계좌 – 정부가 그냥 돈 줌

요약

  • 진입장벽 좀 있음. 대신 들어가면 지원금 오지게 줌.
  • 월 10만만 넣어도 정부가 10만~30만 추가 지원
  • 최대 수령액 3,110만 원까지 가능

조건

  • 만 19~34세
  • 월소득 50~250만
  • 중위소득 100% 이하
  • 3년 유지 + 근로 계속 + 자립 교육 필수

신청 방법

  • 매년 5월에만 신청 가능
  • 복지로 or 주민센터

주의점

  • 중간에 조건 못 지키면 지원금 다 토해냄
  • 1년에 한 번만 신청 기회 있음

2. 청년도약계좌 – 월 70 넣고 5년 참으면 목돈 완성

요약

  • 5년간 월 70만 원 넣을 수 있음
  • 정부는 매달 3.3만 원 지원 (총 198만 원)
  • 이자 복리까지 해서 총 약 5,060만 원 가능

조건

  • 만 19~34세
  • 연소득 7,500만 이하
  • 가구 중위소득 250% 이하
  • 신청은 시중은행에서
  • 3년 이상 유지하면 비과세 적용 (단, 정부지원 60%만 줌)

주의점

  • 2025년까지만 가입 가능
  • 2026년부터는 이거 종료되고 ‘청년미래적금’으로 넘어감

3. 청년미래적금 – 단기 납입 + 고이율, 2026년부터 시작

요약

  • 3년만 넣으면 됨. 짧고 굵게.
  • 일반형: 정부가 납입액의 6% 매칭
  • 우대형: 정부가 12% 매칭 (중소기업 3년 근무 필수)
  • 이자 포함해서 최대 2,200만 원까지 가능

조건

  • 만 19~34세
  • 일반형: 소득 6,000만 이하 or 자영업자(매출 3억 이하)
  • 우대형: 중소기업 신규 입사 후 3년 근무
  • 이자소득 전액 비과세

주의점

  • 청년도약계좌랑 중복 가입 불가
  • 단, 갈아타기는 가능

누가 뭐 하면 되냐?

상황 추천 계좌 이유
소득 낮고, 정부 지원 많이 받고 싶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지원금 제일 큼. 조건만 되면 무조건 ㄱ
중소기업 근무 예정 or 재직 중 청년미래적금 우대형 매칭 12%라서 혜택 쎔
월 50 넘게 저축 가능, 장기 계획 있음 청년도약계좌 5년 후 목돈 만들기 적합
단기간 + 소득 6천 이하 청년미래적금 일반형 짧게 굵게 가능

 

신청 시기 놓치지 마셈

계좌명 신청 시기 신청 방법
청년내일저축계좌 매년 5월 복지로 / 주민센터 방문
청년도약계좌 매월 신청 일정 다름 각 은행 앱 / 정부 공고 참고
청년미래적금 2026년 6월 예정 아직 미공개

정리 한줄평

  • 조건 되면 청년내일저축계좌가 제일 혜자
  • 중소기업 다니면 청년미래적금(우대형) 무조건 이득
  • 장기 저축 가능하면 청년도약계좌로 목돈 ㄱㄱ
  • 중복 가입 안 되는 것도 있으니까 순서 잘 생각하고 선택해야 함
🎁 쿠팡 최저가 할인!
🚀 로켓배송 / 🌱 로켓프레시/ ✈️ 로켓직구
지금 할인받기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