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국내 및 해외 ETF, 뭐가 더 좋을까? 장단점 비교해 봄

유용한 정보와 분석/경제.

레프트 윙어. 2025. 10. 2. 18:07

본문

기본 개념부터 정리 드가자

구분 국내 상장 해외 ETF 해외 상장 글로벌 ETF
어디 상장? 한국 증시 (KRX) 미국 증시 (NYSE, NASDAQ 등)
통화 원화 달러
환전 필요? 없음ㄴㄴ 환전 필요
거래 시간 한국 낮 미국 밤
대표 예시 KODEX, TIGER S&P500 SPY, QQQ, SOXL, TSLL 등

자세히 비교해보기

항목 국내 상장 해외 ETF 해외 상장 글로벌 ETF
접근성 원화로 간편 매수
앱으로 바로 거래 가능
달러 환전 필요
밤에 거래해야 함
세금 구조 매매차익 + 배당 전부 15.4% 과세
→ 다른 금융소득과 합산 (최대 49.5%)
매매차익 22% (분리 과세)
배당 15.4% (합산)
세금 유불리 소액이면 국내 유리
연 2천 이상이면 불리
고액이면 유리
상품 다양성 제한 많음
(2배까지, 종목 비중 제한)
3배 ETF, 단일 종목 ETF 등 다양
투자 예시 TIGER 미국S&P500 TSLL(테슬라 2배), SOXL(반도체 3배)

그래서 뭐가 더 좋음? 상황별 추천

투자자 유형 추천 이유
ETF 입문자 / 귀찮은 거 싫은 사람 국내 상장 해외 ETF 환전 필요 없고, 낮에 거래 가능
금융소득 많은 고액 투자자 해외 상장 글로벌 ETF 매매차익 분리 과세로 세금 유리
고수익 노리는 승부사 스타일 해외 상장 ETF 초고배율 레버리지, 단일 종목 가능
세금 복잡한 거 싫고 간단한 거 찾는 사람 국내 ETF 딱 15.4% 끝. 계산 쉬움

레버리지/인버스 관련

항목 국내 상장 ETF 해외 상장 ETF
레버리지 최대 2배 3배 이상 가능
인버스 상품 있음 훨씬 다양함
종목 구성 지수 위주 (예: S&P500 2배) 단일 종목도 가능 (예: 테슬라 2배)
대표 상품 KODEX 레버리지 TQQQ(나스닥 3배), SOXL(반도체 3배), TSLL(테슬라 2배)

주의할 점 없나?

  • 해외 상장 ETF는 환율 영향 받음
    → 원/달러 환율 움직임까지 수익률에 반영됨
  • 국내 ETF도 추종 지수가 완전 일치하진 않음
    → 추적 오차(tracking error) 존재 가능
  • 세금은 무조건 국세청에 신고해야 함
    → 해외 상장 ETF는 직접 양도소득세 신고 필요 (직장인 귀찮을 수도 있음)

요약 한줄컷

  • ETF 처음이면?국내 상장 ETF로 시작해라. 일단 편함
  • 돈 많고 금융소득 2000 넘는다?해외 상장 ETF가 세금 덜 뜸
  • 고수익 노리고 고배율 ETF 간다?국내엔 그런 거 없다. 해외로 가야 함
  • 귀찮은 거 싫다?국내 ETF에서 끝내라
🎁 쿠팡 최저가 할인!
🚀 로켓배송 / 🌱 로켓프레시/ ✈️ 로켓직구
지금 할인받기

관련글 더보기